JST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가 필요합니다:
- JSTL JAR 파일 다운로드:
- JSTL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두 가지 주요 JAR 파일은 jstl.jar와 standard.jar입니다.
- Maven Repository나 다른 온라인 리포지토리에서 JAR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
- https://mvnrepository.com/
2. JAR 파일 프로젝트에 추가:
- 다운로드한 JAR 파일을 프로젝트의 WEB-INF/lib 디렉토리에 추가합니다(반드시 lib 폴더에 파일이 있어야지만 이클립스에서 인식을 합니다).
- Maven을 사용하는 경우, pom.xml 파일에 JSTL 의존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<dependency>
<groupId>javax.servlet</groupId>
<artifactId>jstl</artifactId>
<version>1.2</version>
</dependency>
3. JSP 파일에서 JSTL 태그 라이브러리 선언:
- JSP 파일의 상단에 태그 라이브러리를 선언합니다.
<%@ taglib prefix="c" uri="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"%>
위 단계를 완료하면 JSP 페이지에서 JSTL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외워도 되지만 그냥 계속 쓰다보면 외울 것도 없기는 합니다.
당연한 이야기지만, JSTL JAR 파일이 없으면 JSP 페이지에서 JSTL 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JSTL 태그 라이브러리를 선언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JSTL 라이브러리 JAR 파일이 프로젝트의 클래스패스에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.
클래스패스 : 프로젝트가 빌드되고 실행될 때 필요한 클래스 파일 및 라이브러리 JAR 파일의 경로를 지정하는 설정, 자바 컴파일러와 JVM이 클래스 파일을 찾는 데 사용
JAR 파일이 없으면 JSTL 태그를 사용하는 JSP 페이지는 다음과 같은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:
The absolute uri: 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 cannot be resolved in either web.xml or the jar files deployed with this application
따라서, JSTL 태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하나의 방법으로 JAR 파일을 프로젝트에 추가해야 합니다.
'Backend >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] MVC 패턴을 위한 서블릿(Servlet) (0) | 2024.02.13 |
---|---|
[JSP] EL(Expression Language) (0) | 2024.02.07 |
[JSP] 내장 객체 | getAttribute()와 getParameter()의 차이점 (0) | 2024.02.01 |
[JSP] 내장 객체 | response, out, exception 메서드 (0) | 2024.02.01 |
[JSP] 내장 객체 | Scope: page, request, session, application (0) | 2024.02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