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JSP (8)
코코무의 코딩캔버스
JST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가 필요합니다:JSTL JAR 파일 다운로드:JSTL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두 가지 주요 JAR 파일은 jstl.jar와 standard.jar입니다.Maven Repository나 다른 온라인 리포지토리에서 JAR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https://mvnrepository.com/ 2. JAR 파일 프로젝트에 추가:다운로드한 JAR 파일을 프로젝트의 WEB-INF/lib 디렉토리에 추가합니다(반드시 lib 폴더에 파일이 있어야지만 이클립스에서 인식을 합니다).Maven을 사용하는 경우, pom.xml 파일에 JSTL 의존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javax.servlet jstl 1.2 3. JSP 파일에서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1Esi/btsID6vCqfw/Y79z1klOYEE1M96EUSfxk0/img.png)
서블릿(Servlet) MVC 패턴을 적용한 모델2 방식의 게시판을 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👉 JSP와 Servlet의 관계 https://pre-walkingdeveloper.tistory.com/93 서블릿의 개념 및 특징JSP가 나오기 전, Java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든 기술이다. 서버 단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한 후 응답하는 역할을 한다.Servlet이 등장한 초기에는 JSP 템플릿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모든 웹 페이지의 프레젠테이션 로직도 서블릿에서 처리해야 했다. 주로 Servlet이 HTML 코드를 직접 생성하는 방식으로 View를 처리했다.java 클래스에서 HTML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지 오랜만에 자각하였다. 예를 들어, response.setCo..
EL(Expression Language) 표현언어 이전에는 불편하게 으로 값을 가져왔었다. 하지만 이제는 EL을 사용하여 백단의 데이터를 좀 더 간단하고 간편히 가져올 수 있다. 변수의 값을 표현식보다 편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. JSP의 기본 문법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4가지 영역에 저장된 속성도 더 쉽게 읽을 수 있다. 모델 2 방식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주로 사용한다. MVC를 이용한 서블릿에서 사용한다. 저장된 4가지 영역에 속성을 접근할 때 순서 JSP에서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다. EL을 배우고 난 후 JSTL, 서블릿과 응용하여 좀 더 간결한 코드로 웹 구현하는 것이 목표이다. 객체 표현 방식 EL에서 객체를 표현할 때 . 이나 [ ]를 사용한다.${ param.name }..
getAttribute()getParameter()Object 타입을 리턴함(주로 빈 객체나 다른 클래스를 받아올 때 사용됨)String 타입을 리턴함setAttribute() 속성을 통한 설정이 없으면 무조건 null 값을 리턴함웹 브라우저에서 전송 받은 request 영역의 값을 읽어옴
response 요청에 대한 응답을 웹 브라우저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. 많이 사용되는 기능으로 redirect와 HTTP 헤더에 정보 추가하기가 있다. sendRedirect("주소")클라이언트의 요청을 "주소" 페이지로 보낸다.getStatus()HTTP 상태 코드를 반환한다. out 출력스트림으로 브라우저에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객체이다. 과 EL이 훨씬 편리해서 많이 쓰지는 않는다. 하지만 스크립틀릿 안에 있는 변수를 브라우저로 출력해야 한다면 out 객체를 쓰는 것이 더 좋다.clearBuffer()버퍼를 비운다.getBufferSize()페이지에 설정된 버퍼의 크기를 가져온다.getRemaining()사용하고 남은 버퍼의 크기를 가져온다.print(내용)변수나 문자열을 브라우저에 출력한다.f..
page 영역 page 영역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는데 관여하는 jsp 페이지마다 하나씩 생성된다. 각 jsp 페이지는 page 영역을 사용하기 위한 pageContext 객체를 할당 받게 된다. pageContext 객체에 저장된 정보는 해당 페이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(동일한 페이지에서만 공유) 페이지를 벗어나면 소멸된다.include 지시어로 포함한 파일은 하나의 페이지로 통합되므로 page 영역이 공유된다.저장: pageContext.setAttribute(name, value)출력: pageContext.getAttribute(name) request 영역 JSP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객체이다. 브라우저가 전동한 요청 정보를 가지고 있다(정보 저장).html이나 jsp 파일..
1. 윈도우에 jdk 11~17버전 설치(오라클 홈페이지, java) 2. 시스템 환경 변수 설정 1) 시작 우클릭 > 시스템 > 고급 시스템 설정 2) 시스템 변수 > 새로 만들기 > JAVA_HOME > jdk 설치 경로 3) path 추가 > %JAVA_HOME%bin (어디서나 javac 명령어 실행) 4) cmd > javac -version > 자바 버전 출력이 되어야 함 3. 톰캣 설치(9버전) 1) 크롬 > 톰캣 검색 > windows service installer > 9버전 다운 2) msi 버전: 설치용 3) zip: 압축 풀어 설치용 4) 설치 시 경로 변경할 것(d:\tomcat) > http/1.1 포트 변경(8000), 관리자 포트(8001) 4. 이클립스 설치 1) 크롬 >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E3nP/btsEcpmQMGf/KlkDNTRqvcyjpZ29e2ALkK/img.png)
안녕하세요, 오늘은 JSP를 진하게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.부디 이 포스팅을 계기로 JSP와 가까운 사이가 되기를 바래봅니다. JSP란? Java Server Pages(이하 JSP)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개발하기 위한 웹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. 자바언어를 사용하여 서버 측에서 웹 페이지들을 생성해 웹 브라우저로 전송합니다.자바를 서버 개발 언어로 자리 잡게 해준 고마운 친구입니다. 본격적으로 JSP에 들어가기 전에 기본 용어에 대한 개념을 간단하되 명확히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. 서버(Server)와 웹 서버(Web Server) 사전적 의미로는 '서비스(Service)'를 제공하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.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른 컴퓨터에게 다양한 ..